민사소송 임대인이 보증금을 떼 먹으려 지인에게 집을 넘긴 깡통 전세 사건
페이지 정보
본문
의뢰인은 1억 6,500만 원의 전세금을 내고 4년간 전세 주택에 거주하다가, 전세기간이 끝날 때쯤 결혼을 하게 되면서 이사를 가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집주인은 보증금을 돌려준다고 말만 할 뿐, 전세기간이 끝나고 한참이 지난 뒤에도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았습니다. 의뢰인은 결혼식을 올리고
신혼 집에 들어가야 하는 상황에서도 집주인과 연락도 되지 않는 상황이 되자 의뢰인은 임차권등기를 마친 뒤 이사를 할 수밖에 없었고, 집 주인의 집에 찾아가
기다리기도 하였으나, 돌아오는 건 집주인의 폭언 뿐이었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의뢰인이 등기부를 확인해 보니 집주인은 의뢰인 몰래 전세집을 지인에게 넘겨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뒤였고,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새로운 집주인에게
돈을 받으라고 오리발을 내밀었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매수인은 연락도 잘 받지 않는 등 전세금을 돌려줄 능력도 의문이 가는 사람이었는 데다가 현재 전세집의 시가는
보증금에 미치지 못하는 이른바 깡통전세 상태였습니다.
남헌은 의뢰인과 상담을 한 뒤 대항력 있는 임차인의 경우 주택이 양도되더라도 임차인의 주택 양도이의에 따라 새로운 집 주인에게 보증금반환의무가 승계되지 않고,
종전 집 주인의 보증금 반환의무가 소멸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을 생각해 냈고, 다만 임차인이 주택 양도사실을 안 뒤 상당한 기간 안에 이의 표시를 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곧바로 종전 집주인과 새로운 집주인에게 내용증명 우편과 휴대전화 메시지 등으로 주택 양도에 이의한다는 의사표시를 보내도록 하는
한편, 종전 집 주인 소유인 다른 주택에 가압류를 하여 혹시 모를 재산 은닉 및 처분에 대비하였습니다.
전 집주인은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자신의 보증금반환의무가 소멸하였다고 주장하였으나, 법원은 의뢰인이 주택 양도 사실을 알게 된 뒤 바로
이의의 의사표시를 계속하였다는
점에서 종전 집주인의 보증금반환의무는 소멸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의뢰인에게 승소판결을 내렸습니다.
이 사건은 임대차 사건에서 신속한 법리적 판단과 그에 따른 적절한 대처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일깨우는 사건이었습니다.
임대인의 행동이 수상할 때에는 절대 당황하지 마시고 등기부를 확인하신 뒤 남헌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법률사무소 남헌 / 판결]